행 6:1-7
[1] 그 때에 제자가 더 많아졌는데 헬라파 유대인들이 자기의 과부들이 매일의 구제에 빠지므로 히브리파 사람을 원망하니
[2] 열두 사도가 모든 제자를 불러 이르되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제쳐 놓고 접대를 일삼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
[3] 형제들아 너희 가운데서 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 칭찬 받는 사람 일곱을 택하라 우리가 이 일을 그들에게 맡기고
[4] 우리는 오로지 기도하는 일과 말씀 사역에 힘쓰리라 하니
[5] 온 무리가 이 말을 기뻐하여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 스데반과 또 빌립과 브로고로와 니가노르와 디몬과 바메나와 유대교에 입교했던 안디옥 사람 니골라를 택하여
[6] 사도들 앞에 세우니 사도들이 기도하고 그들에게 안수하니라
[7] 하나님의 말씀이 점점 왕성하여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의 수가 더 심히 많아지고 허다한 제사장의 무리도 이 도에 복종하니라
■ 내용 요약
- 일곱 집사의 선정 (6:1-7)
- 스데반의 활동 (6:8-15)
불만을 듣고 심각성을 깨달은 사도들은 자신들을 변호하려 하지 않았다. 그들은 신속하게 행동했다. 그들은 모세가 세운 전례(출 18:25)를 기억하였을 것이다. 그들은 모세처럼 권한을 위임하기로 결의했다. “모든 제자”라는 표현을 예루살렘과 근방에 있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집회에 모여야 했었다는 뜻으로가 아니라, 한 특별한 집회가 소집되었는데, 그 집회에 올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이 왔으며, 그 모임에서 사도들이 그 문제와 그들의 계획을 제시했다고 봐야 한다. 그 분배를 놓고 불평이 제기되었던 자금은 많은 사람이 기부한 것이므로, 당연히 그 많은 사람과 협의를 거쳤다. 일개 중심지에서의 이런 발전으로부터, 대의제적 교회 통치 형태가 자연스럽게 일어났다(사도행적, 96).
아이스브레이크를 위한 질문
- 우리교회에 소외당하는 대상이 있다면? 있을까요?
- 우리교회 안에는 “선민의식”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있다면 어떤 면인가요?
본문을 더욱 자세히
※헬라파 유대인은 히브리파 유대인에 비해서 약자였다. 약자는 똑같은 취급을 받아도 자기는 소외된다고 생각한다. 약자에게는 사랑과 관심이 좀 더 많이 가야 된다. 그래야 겨우 공평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 교회 안에 불화가 생길 때 어떤 결과가 오는지 말해 봅시다
- 그런 불화는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을까요?
- 본문의 사건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은 무엇이 있는지 나열해 봅시다. (나열되지 않은 것들을 더 찾아봅시다.)
① 모든 짐을 홀로 감당하지 말 것
② 언제나 물질을 조심할 것
③ 편애하지 말 것
④ 약자의 마음을 이해할 것
⑤ 불화에는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 일곱명의 집사들이 헬라파 유대인 중에서 뽑힌 것을 살펴 보라. 얼마나 시원한 처리인가? 그래서 초대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이 점점 왕성하여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의 수가 더 심히 많아지고 허다한 제사장의 무리도 이 도에 복종”하게 되었다. (6:7)
생각해봅시다
- “교회는 어떤 사업보다는 사람이 우선 되어야 된다.”이 문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우리 주변에도 약한 자들이 있습니다. 새로운 사람, 적응을 잘 못하는 사람, 열등감이 많은 사람, 내성적인 사람들은 어떻게 대해 주어야 할까요? 그리고 최근에 내가 그들을 위해서 해 준 일이 무엇인가 생각해 봅시다.
“정직한 영혼들이 자원하여 그리스도의 사업에 자신을 바치는 곳마다 빛과 축복의 중심지를 세우는 사업이 위탁되었다.”사도행적 90P.
제자. 사도행전에서 이 이름이 그리스도인에게 대하여 여기서 맨 처음 사용되었다. 복음서의 제자들이 사도가 되었으며, “제자”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신자들에게로 넘겨졌다.
헬라파. 헬라어 헬레니스타이(Helle-nistai). 즉 헬라어를 상용하는 유대인들 혹은 “그리스의 유대인들”(「개정역」). 신약의 용례는 그들과 종족상의 헬라인들인 헬레네스(Helle-nes)를 세심하게 구분한다(요 12:20). 이 헬라파 유대인은 흩어져 사는 유대인들로서(참조 제10권, 66~68; 요 7:35; 행 2:8 주석) 헬라어를 상용할 뿐 아니라 헬라 문화에도 젖어 있었다. 그들은 헬라어가 공용어인 땅에 태어난 유대인들이었을 것이며, 그렇기에 히브리어나 아람어를 구사하지 못했으며, 팔레스타인에서 히브리 제사에 참여하는 대신 예루살렘에 그들 나름의 회당들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헬라어를 사용하는 개종자였을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그들은 유대교에서 개종한 자들이었는데, 왜냐하면 이때까지는 복음이 이방인들에게 전해지지 않았던 까닭이다. 오순절 당시 개심했던 사람들 중 다수가 바나바(4:36)와 또 이 이야기에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다른 사람들처럼(6:5) 이 그룹에 속했던 것이 틀림없다.
이 헬라파 유대인들은 구약의 헬라어 역본인 「70인역」을 사용했는데, 그 역본은 신약에 아주 빈번하게 인용되었다. 그들은 본방의 유대인들과는 대조적으로 대개 아주 열심이 있었다. 그들은 큰 희생을 치르면서 예루살렘의 신성한 장소들에서 예배드리러 온 반면에, 팔레스타인의 유대인들에게 성전 경내(境內)는 너무도 자주 범속(凡俗)한 곳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참조 21:27, 28). 유대교 랍비들의 전승은 여호와에 대한 히브리인의 신앙고백(신 6:4)인 셰마(s∨ema‘)를 그리스식 헬라어로 암송하도록 하는 조항을 마련하였다. 참조 제10권, 63.
자기의 과부들. 즉 헬라파의 과부들. 팔레스타인의 유대인들이 유아기의 교회 내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기에, 아무런 악의는 없었지만 헬라파들 중에 궁핍한 자들이 언어와 관습의 차이로 인하여 도움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었을 것이다. 과부를 돌보는 일은 성경에 강조되어 있다(참조 출 22:22; 신 14:29; 사 1:17; 눅 18:3 주석). 여기서는 남의 도움에 의존해서 사는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가리킬 것이다. 분명히 교회 내의 공유적 체제는 조성된 공유 자산(행 4:32)을 감독할 모종의 체계가 필요했다. 후에 교회는 과부들을 돌보는 규정을 만들었다(딤전 5:3~16).
구제. 헬라어 디아코니아(diakonia). “봉사”, “돌봄”, 「개정표준역」에는 “분배”로, 11:29에는 “구제”로 번역되었다. 이 낱말은 디아코노스(diakonos) 즉 “봉사자”(ministrant) 혹은 “집사”와 관련되어 있다. 이 도움은 날마다 제공되었다. 절박한 필요와 아마도 보관할 공간의 부족으로 날마다 도시 여러 지점에서 구제 물자를 분배해야 했을 것이다. 증여물들이 끊임없이 흘러 들어오고, 기부금을 나누어 주는 일도 끊임없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이 일로 사도들의 시간이 매우 많이 소모되었다. 그러나 사도들이 편파적이거나 태만했거나 혹은 그들에게 적개심을 느낀 사람들이 있었다는 암시는 전혀 없다.
히브리파 사람. 이들은 헬라파 유대인들과는 대조되는 유대인들로서, 팔레스타인에서 태어나, 거기서 살고, 신약이 히브리 방언이라고 부르는 언어(아람어)를 사용했다(참조 22:2; 제1권, 30).
원망한대. 그저 사소한 불평이 아니라 심각한 우려를 자아낼 만큼 충분히 목소리가 큰 항의였다. 기록에 의하면 사도들은 아무런 비난도 받지 않았는데, 이는 그들은 그런 비난을 받을 만한 일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교인들의 급속한 증가는 그들의 자원을 앞질렀고 어려움을 촉진시켰다.
제쳐놓고. 헬라어 카탈레이포(kataleipo-). “버리다”, “포기하다.” 이 헬라어는 강조형으로서, 궁핍한 자들을 돌보는 일로 사도들의 시간이 많이 소모되었음을 암시한다.
공궤를 일삼는 것. 유대 회당에는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도록 세 사람이 임명되었다.
지혜. 그 사람들은 가난한 자들의 영적 필요를 보살필 수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일을 하는 데 신중하고 분별력이 있고 검약하며 지혜가 있어야 할 것이었다. 바울은 지혜를 성령의 은사로 간주했다(고전 12:8). 야고보는 그것을, 선한 행실 혹은 “선행”(약 1:5)이 수반되어야 할 하나님의 선물로 강조하였다(약 3:13). 이 절 외에는, 사도행전에 “지혜”라는 단어는 오로지 스데반에 관하여(행 6:10) 또는 스데반에 의해 사용되었다(7:10, 22). 그는 또한 “믿음[이]…충만”하다고 명시적으로 진술되어 있다(6:5).
칭찬 듣는. 문자적으로 “입증된” 혹은 “그들에 대하여 제시된 증거를 가지고 있는”, 즉 동료들간에 평판이 좋게 나 있는(참조 딤전 5:10). 이 말은 행 10:22에서는 “칭찬”하는으로 번역되었다. 비난의 여지가 없는 사람이란 평판을 얻은 사람들이 좀 더 공정하게 분배하는 일을 떠맡도록 부름을 받지 않는 한, 그 상황은 조금도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정직하고 능률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 동료들에게 용납될 만한 사람들이어야 한다. 장로(감독)뿐아니라 집사의 자격에 관한 영감받은 목록은 딤전 3:1~14; 딛 1:5~11을 참조하라.
사람 일곱. 사도들이 7이란 숫자를 생각한 것은 이치에 맞는 일이었다. 유대인들 사이에는 그 숫자에 대한 일반적인 존경심이 있었다. 후대에, 적어도 7은 유대의 읍들에서 공무를 처리하도록 부름받은 사람들의 숫자였다(Talmud Megillah 26a, Soncino ed., 157). 좀 더 단순하게 말하자면, 그 당시에는 오직 일곱 명만 필요했을 것이다.
신약에는 이렇게 임명된 사람들이 “집사들”로 불리지 않는다. 이 말이 다시 언급되었을 때, 그것은 [그] “일곱”(the seven, 21:8)으로 언급되었다. 마치 그들이 거의 하나의 구별된 단일체인 듯이. 그러나 그들은 “집사들”(사도행적, 89, 90,)이라고 불리는 계층의 원조가 되었으며, 그들의 기능은 훗날 바울이 묘사한 집사의 기능과 거의 비슷했다(참조 딤전 3:8~13). 일부 교회에서는 로마에서처럼 집사의 수가 후에 일곱으로 고정되었다(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vi. 43. 11). 신(新) 가이사랴 공회(The Council of Neo-Caesarea, AD 314; Canon 14)는 한 곳에 집사들 일곱을 두도록 요청한다. 많은 주석자는 여기의 택함받은 일곱 사람이 행 11:30; 14:23 그리고 그 절 이후 언급되는 “장로들”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택하라. 열두 사도는 그 책임을 신자들의 어깨에 분명히 지웠으며, 그들 가운데서 택해야 했다.
기도하는 것. 그리스도의 기도 생활을 여전히 생생하게 기억하는 이 경건한 사람들은 기도할 필요성을 그들의 목록 맨 첫 번째에 놓아두었다. 그러나 기도는 개인적인 헌신뿐 아니라 교회의 공중 예배도 포함한다는 것을 기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전하는 것. 헬라어 디아코니아(diakonia). 1절에 쓰인 것과 동일한 단어이다(「개역한글판」의 1절에 “구제”로 번역된 낱말이 여기서는 “(말씀) 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역자 주). 열두 사도가 하나님의 말씀에서 비롯되는 영적 은택을 나누어 주는 일을 하도록 자유로워지는 한편, 일곱은 물질적 복을 나눠 주는 봉사를 할 것이었다. 그들은 설교와 여러 가지 형태의 가르침을 통해서 이 일을 할 것이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제쳐놓고”(2절)라는 구절이 무엇을 뜻하는지 분명히 설명한다.
전무(하리라). 또는 “끈기 있게 노력하다.” 이 동일한 낱말이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행한 열성적 행위를 기술하는 데에 여러 차례 사용되었다(참조 1:14; 2:42, 46).
스데반. 헬라어 스테파노스(Stephanos). “화관”, “보관”(寶冠), “승리의 화환”을 뜻함. 이 이름은 드물지 않았으며, 고대 명각에도 나타난다.
전승에 따르면 메시야가 왔다(눅 10:1~11)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각 성읍으로 파송된 70인 중에 스데반과 빌립, 두 사람이 모두 속해 있었다고 한다. 사마리아가 그들의 봉사 현장이었을 것이다(참조 눅 10:1 주석). 사마리아인들은 헬라어를 쓰는 유대인들을 팔레스타인 유대인들보다 필시 더 잘 받아들였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사마리아인을 위한 복음전도자로 빌립을 보낸 이유를 설명해 줄 수도 있다(행 8:5).
빌립. 헬라어 필립포스(Philippos). “말[馬]을 사랑하는 사람”(참조 막 3:18 주석). 열두 사도 중 한 명과 헤롯 대왕의 아들 중 두 명도 이름이 빌립이었다. 그 이름은 이전 여러 세기 동안 마게도냐의 통치 가문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이름이다. 빌립의 과거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고, 다만 그가 70인의 일원이었다는 전승만 있을 뿐이다(스데반에 관한 앞절의 주석을 참조하라). 바울은 가이사랴에 있는 그를 방문하였으며(행 21:8), 아마도 그는 오랫동안 그곳 교회의 지도자였을 것이다. 바울이 방문했을 당시 빌립에게 성장한 딸 넷이 있었다는 사실은 빌립이 임명될 당시 이미 결혼한 상태였음을 제시해 준다.
브로고로와 니가노르와 디몬과 바메나. 이 네 명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으며 추측의 토대가 될 만한 것도 전혀 없다.
입교한. 니골라는 “의의 개종자”, 유대교를 온전히 받아들인 사람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유대종교를 잘 배운 사람이었을 것이다.
안디옥. 유대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이 시리아의 도시는 팔레스타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헤롯 대왕은 주요 도로 전체에 화려한 주랑을 세웠다. 니골라가 안디옥 출신이라는 사실이 매우 흥미를 불러일으키는데, 이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이름을 얻은 곳이 바로 이곳이기 때문이다(11:26). 그 도시는 후일 교회 초기 선교 사업의 본부가 되었다(참조 11:19 주석).
니골라. 헬라어 니콜라오스(Nikolaos)로서, “사람들의 주인”을 뜻함. 이름이 기록된 최초의 비 유대그리스도인임.
안수하니라. 이것은 그 행위에 대한 신약의 맨 첫 언급이다. 구약에서는 이미 축복을 수여하는 행위로 사용되었으며(참조 창 48:13, 14 주석), 제사장 위임식 때(참조 민 8:10 주석) 그리고 여호수아를 지도자로 세울 때에도 사용되었다(참조 민 27:18, 23 주석). 그러므로 이 행위의 의미를 신실한 유대인들은 모르고 있지 않았다. 주님께서 자주 병자들에게 손을 얹으셔서 그들을 고치셨다는 점에서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부수적인 의미가 첨가되었다(막 6:5; 눅 4:40; 13:13; 참조 막 16:18). 이와 비슷하게, 그분께서는 아이들을 축복하였다(마 19:15). 그런 까닭에, 사도들은 손을 얹어 일곱 명에게 축복하고 그들을 봉헌하는 일을 할 좋은 선례를 얻게 되었다. 그들은 행 8:17; 13:3; 19: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사한 상황들에서 이런 방법을 계속 사용하였다. 사도 시대의 교회에서는 복음 사역을 하도록 안수할 때 사람들에게 손을 얹었다(딤전 4:14; 5:22; 딤후 1:6). 그 관습이 교회 조직에서 용인된 절차로 굳어졌다는 사실이 히 6:2에 나타난다. 그것은 주님과 안수를 받는 사람 사이의 밀접한 영적 관계를 나타내야 한다(사도행적, 161, 162,).
'성경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세계는 마음의 세계입니다-사도행전 연구5 (0) | 2025.07.04 |
---|---|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아니할 수 없다-사도행전 연구4 (5) | 2025.06.30 |
일어나 걸어라, 사도행전 연구3 (1) | 2025.06.21 |
초대교회, 사도행전 연구2-2 (1) | 2025.06.11 |
성령의 강림, 사도행전 연구2 (3) | 2025.06.06 |